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니가타현 제3구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의 폐지된 선거구에 대한 내용은 니가타현 제3구(중선거구) 문서
니가타현 제3구(중선거구)번 문단을
니가타현 제3구(중선거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호쿠리쿠신에쓰 지방의 국회의원
니가타현,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 나가노현
[ 중의원 의원 ]
{{{-1 {{{#000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니가타현 제3구
新潟県第3区
||
파일:shuinsen_Niigata3.svg
선거인 수298,289명 (2021)
상위 도도부현니가타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사이토 히로아키




1. 개요[편집]


니가타현의 북동부 지역인 니가타시 키타구의 옛 토요사카시 지역, 시바타시, 무라카미시, 고센시. 아가노시, 타이나이시, 키타칸바라군, 히가시칸바라군, 이와후네군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사이토 히로아키.


2. 상세[편집]


벼농사를 짓는 농가가 많은 곡창지대로, 농촌 지역구 특성상 보수 성향이 강했던 선거구다. 때문에 자유민주당 지지도가 강한 선거구였다. 하지만 해당 지역구 출신인 다나카 가쿠에이 전 총리의 딸인 다나카 마키코 전 외무대신이 민주당에 입당하는 등 현내 정치지형이 바뀌면서, 2009년 45회 총선 때부터 민주당 지지세가 확실히 강해졌다.

비록 민주당이 전국적으로 압승한 2009년 총선이지만, 5선 의원인 자민당 이나바 의원이 민주당 구로이와 후보에게, 66.0% 대 32.8%라는 압도적인 더블스코어로 패한 것은 충격이었다. 이후 자민당이 전국적으로 압승한 2012년 46회 총선에서는 자민당 사이토 히로아키 후보가 50.2%를 득표, 41.4%를 득표한 민주당 구로이와 후보를 꺾고 지역구를 재탈환한다. 하지만 자민당이 압승한 선거 치고는 득표율차가 별로 크지 않았다.

그 다음 치러진 2014년 47회 총선에서는 민주당 구로이와 후보가 49.1%를 득표, 44.2%를 득표한 자민당 사이토 후보를 꺾고 중의원 의원으로 복귀한다. 사이토 후보는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당선된다. 공산당 후보는 6.7%를 득표했다. 47회 총선도 자민당이 압승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선거구가 자민당 우세 선거구에서 민주당 우세 선거구로 변모했다고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제47회 총선 이후부터는 다시 자민당의 득표율이 올라가고 야권의 득표율이 줄어드는 추세가 이어진다. 2017년 48회 총선에서는 공산당이 후보를 공천하지 않고 구로이와 의원이 야권 단일 무소속후보로 출마했지만, 오히려 49.1%로 득표율이 정체된다. 반대로 자민당 사이토 후보가 49.1%로 득표율이 상승, 50표 차이로 아깝게 지역구에서 패하고 다시 비례대표로 당선된다. 이후 2021년 49회 총선에서는 자민당 사이토 후보가 53.6%를 득표, 46.4%로 득표율이 추락한 입헌민주당 구로이와 후보를 꺾는다. 구로이와 전 의원은 이번에는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부활하지도 못하고 낙선한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파일:Japan_gov_logo.png 니가타현 제3구 역대 국회의원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이나바 야마토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구로이와 다카히로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사이토 히로아키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구로이와 다카히로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무소속

[1]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사이토 히로아키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니가타현 제3구
토요사카시, 시바타시, 무라카미시, 아가노시, 타이나이시,
키타칸바라군, 나카칸바라군 일부, 히가시칸바라군,
이와후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나바 야마토79,635표1위


36.03%당선
이와무라 우이치로66,067표2위

무소속

29.89%낙선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시라사와 사부로60,223표3위


27.2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타자키 쇼이치15,110표4위


6.84%낙선
유효표 수221,035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니가타현 제3구
토요사카시, 시바타시, 무라카미시, 아가노시, 타이나이시,
키타칸바라군, 나카칸바라군 일부, 히가시칸바라군,
이와후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나바 야마토111,819표1위


51.15%당선
파일:자유당.gif시라사와 사부로57,409표2위


26.26%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쿠라모치 하치로34,320표3위


15.7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나가키 케이조15,045표4위


6.88%낙선
유효표 수218,593표투표율
68.59%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니가타현 제3구
토요사카시, 시바타시, 무라카미시, 아가노시, 타이나이시,
키타칸바라군, 나카칸바라군 일부, 히가시칸바라군,
이와후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나바 야마토108,627표1위


55.91%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쿠라모치 하치로70,256표2위


36.1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나카 신이치15,399표3위


7.93%낙선
유효표 수194,282표투표율
61.76%
선거인 수328,821인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니가타현 제3구
토요사카시, 시바타시, 무라카미시, 아가노시, 타이나이시,
키타칸바라군, 나카칸바라군 일부, 히가시칸바라군,
이와후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나바 야마토111,695표1위
50.14%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미야자키 마스츠구73,114표2위
32.82%낙선
파일:일본 국민신당 로고.svg스즈키 야스시23,845표3위
10.7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나카 신이치14,132표4위
6.34%낙선
유효표 수222,786표투표율
69.86%
선거인 수328,478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니가타현 제3구
토요사카시, 시바타시, 무라카미시, 아가노시, 타이나이시,
키타칸바라군, 나카칸바라군 일부, 히가시칸바라군,
이와후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구로이와 다카히로122,686표1위
52.26%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나바 야마토86,960표2위
37.04%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토미카와 마사미츠2,668표3위
1.14%낙선
유효표 수234,711표투표율
74.06%
선거인 수323,892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니가타현 제3구
토요사카시, 시바타시, 무라카미시, 아가노시, 타이나이시,
키타칸바라군, 나카칸바라군 일부, 히가시칸바라군,
이와후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이토 히로아키92,280표1위
[2]50.16%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구로이와 다카히로76,135표2위
[3]41.3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나카 신이치11,465표3위
6.23%낙선
미무라 요이치4,075표4위
2.22%낙선
유효표 수183,955표투표율
59.62%
선거인 수318,635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니가타현 제3구
니가타시 키타구 일부, 시바타시, 무라카미시, 고센시,
아가노시, 타이나이시, 키타칸바라군, 히가시칸바라군,
이와후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구로이와 다카히로82,619표1위
49.13%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이토 히로아키74,319표2위
[4]44.20%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토 마코토11,214표3위
6.67%낙선
유효표 수168,512표투표율
54.55%
선거인 수314,215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니가타현 제3구
니가타시 키타구 일부, 시바타시, 무라카미시, 고센시,
아가노시, 타이나이시, 키타칸바라군, 히가시칸바라군,
이와후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구로이와 다카히로95,644표1위
[5]49.15%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호소다 겐이치95,594표2위
[6]49.12%비례당선
미무라 요이치3,375표3위
1.73%낙선
유효표 수194,613표투표율
63.31%
선거인 수312,835인

민진당 구로이와 의원은 희망의 당이나 입헌민주당에 참여하는 대신 무소속 야권단일후보로 출마했다. 자민당 사이토 히로아키 의원을 50표차로 누르고 당선되었다. 소선거구제 도입 이후 일본의 모든 선거구를 통틀어 역대 최소표차였다.

당선 이후 구로이와는 같은 야당 성향의 무소속 의원들과 원내 회파를 구성했다가, 2019년 9월에 입헌민주당에 입당했다.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니가타현 제3구
니가타시 키타구 일부, 시바타시, 무라카미시, 고센시,
아가노시, 타이나이시, 키타칸바라군, 히가시칸바라군,
이와후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이토 히로아키102,564표1위
[7]53.61%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구로이와 다카히로88,744표2위
[8]46.39%낙선
유효표 수191,308표투표율
65.04%
선거인 수298,289인

선거 당시 니가타 3구 관련 뉴스 영상

현역 입헌민주당 구로이와 다카히로 의원과 자민당 사이토 히로아키 의원이 재대결한다. 두 양대 정당 이외의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가 출마하지 않기에, 입헌민주당 구로이와 후보와 자민당 사이토 후보의 1대1 대결로 치러진다.

50표 차이의 초박빙 선거였던 지난번과 달리, 이번 선거에서는 자민당 사이토 후보가 여유있게 큰 표 차이로 승리하였다. 입헌민주당 구로이와 후보는 비례대표로 부활하지도 못하고 낙선했다. 입헌민주당에 입당한것이 오히려 더 마이너스가 되었다는 평가가 있다. 무엇보다도, 제47회 총선 이후 사이토 의원은 계속 지지율을 높이고 있지만, 반대로 구로이와 전 의원은 계속 지지율이 줄어들고 있다. 이런 추세가 반복될 경우, 다음 선거에서는 자민당 사이토 의원이 더 큰 격차로 승리할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되었지만...

사이토 의원이 통일교 측으로 부터 선거 지원을 받은 사실이 확인되었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일명 10증10감법)이 통과되면서 니가타시 키타구의 분할이 해소되어 전체를 관할하게 되었으며, 4구에 있던 아키하구도 이 곳으로 넘어오게 되었다.

일본 유신회에서는 음식점을 운영중인 요시무라 유이치로 후보가 출마한다.

[1] 당선 후 입헌민주당 입당.[2] 추천[3] 추천[4] 추천[5] , , 니가타현 연합 추천[6] 추천[7] 추천[8] , 니가타현 연합 추천